보건증이란?
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은 식품 관련 업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발급받아야 하는 서류입니다. 보건증 없이 근무를 하게 되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서류이오니 식당, 카페, 편의점, 배달업 등에서 근무하는 분들은 보건증 발급을 꼭 받으시고, 만약 분실을 했거나 기한이 끝나 재발급이 필요하다면 보건증을 재발급받는 방법과 필요한 서류, 온라인·오프라인 신청 방법을 아래에서 확인 해보세요.
1. 보건증 재발급 방법
보건증을 재발급받는 방법은 크게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 두 가지로 나뉩니다.
(1) 온라인 재발급 (간편)
온라인으로 신청하면 집에서도 손쉽게 보건증을 재발급받을 수 있으니, 아래에서 안내해드리는 사이트에 방문하여 개인정보 입력 후 발급받으세요.
◉ 신청 방법:
◉ 온라인 재발급 조건
- 기존에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발급된 경우만 가능
- 검사받은 보건소에서만 온라인 발급 가능
- 유효기간(1년) 내의 보건증만 재발급 가능
📢 만약 보건증 유효기간이 지났다면? 재발급이 아니라 새로운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! 보건증이 나오기까지 2~5일 소요될 수 있으니 사전에 미리 확인해보세요!
(2) 오프라인 재발급 (방문 신청)
온라인 발급이 불가능한 경우, 직접 보건소를 방문해야 합니다. 방문하실 때 신분증을 꼭 지참하시고 방문해주세요. 신분증이 없다면 🔎모바일신분증을 이용하여 발급도 가능하니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.
◉ 신청 방법:
- 건강검진을 받은 보건소 방문
-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 지참
- 발급 신청서 작성 후 수령
◉ 소요 시간 & 비용
- 즉시 발급 가능 (단, 보건소마다 다를 수 있음)
- 재발급 비용:무료(일부 보건소에서 수수료 발생 가능)
(3) 무인민원발급기 이용 (편리)
무인민원발급기를 이용하면 주민센터, 구청, 일부 지하철역 등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단, 해당 서비스가 지원되는 발급기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◉ 이용 방법:
- 가까운 무인민원발급기를 이용하거나정부 24에서 무인발급기 위치를 확인 후 이용 (주민센터, 구청, 지하철역 등)
- 무인민원발급기에서 '건강진단결과서(보건증)' 선택
- 본인인증(주민등록증 지문 등) 진행
- 발급 및 출력
📌 주의사항: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보건증 발급이 가능한지 사전에 확인하세요. 일부 발급기에서는 해당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강남구의 경우 일부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보건증 발급이 가능합니다.
2. 보건증 미소지 시 과태료 부과
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은 식품위생법 제40조에 따라 식품 취급 업종에서 필수로 소지해야 합니다. 이를 위반하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◉ 보건증 미소지 시 벌칙 사항
- 보건증 없이 근무할 경우, 업주(사업주)에게 과태료 부과 됩니다.
- 과태료는 최대 100만 원까지 부과될 수 있음
- 업소 단속 시, 보건증 미소지 근로자는 즉시 퇴사 조치될 수 있음
◉ 과태료 부과 기준 (식품위생법 제97조)
- 보건증이 없이 근무한 경우 : 최대 100만원
- 사업주가 보건증 미확인 : 최대 100만원
- 유효기간 경과된 보건증 사용 : 최대 100만원
🚨 중요! 사업주는 근로자의 보건증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, 근무자는 보건증을 항상 지참하는 것이 좋습니다.
3. 보건증 재발급 관련 Q&A
Q1. 보건증 유효기간이 지났는데 재발급 가능한가요?
➡️ 아닙니다. 유효기간이 지난 보건증은 재발급이 불가능하며, 다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.
Q2. 편의점, 카페에서 일하는데 보건증이 꼭 필요한가요?
➡️ 네! 식품 관련 업종(식당, 카페, 편의점, 배달 등)에서는 보건증 필수입니다.
Q3. 병원에서도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나요?
➡️ 아니요. 보건증은 보건소에서만 발급 가능합니다. 일반 병원에서는 건강검진은 가능하지만, 보건증 발급은 되지 않습니다.
Q4. 온라인 발급이 안 되는 경우는?
➡️ 보건소에서 검사받지 않았거나, 검사받은 보건소가 온라인 발급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.
🔖 정리: 보건증 재발급 핵심 정리
✔ 온라인 신청: G-health 공공보건포털 접속 → 본인 인증 → 즉시 출력
✔ 오프라인 신청: 검진받은 보건소 방문 → 신분증 지참 → 즉시 발급
✔ 유효기간: 발급일로부터 1년 (기간 초과 시 재검진 필요)
✔ 발급 비용: 대부분 무료 (보건소마다 다를 수 있음)
보건증이 필요한데 분실했다면, 위 방법을 참고하여 빠르게 재발급받으시고 업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'생활에 필요한 정보 > 일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엘지 휘센 에어컨 셀프 청소 순서, 이대로만 따라하세요! (0) | 2025.03.28 |
---|---|
연차 발생 기준 총정리! 최대 몇 개까지 받을 수 있을까? (0) | 2025.03.20 |
2025년 전국 봄꽃 축제 일정 & 방문 팁! (0) | 2025.03.18 |